전통 창극의 미학에 동시대적 감각을 덧입힌 신작 창극 <심청>이 오는 9월 3일부터 6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초연된다.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의 신작으로 제작된 이번 작품은, 전통 판소리 ‘심청가’를 원천으로 하되, 보편적 정서와 상징의 확장이라는 새로운 서사적 도전을 담아냈다.
연출은 독일과 유럽 무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출가 요나 김이 맡았다. 그는 2017년 독일 오페라 전문지 『Opernwelt』 선정 ‘올해의 연출가’에 이어, 2020년 파우스트상 후보로 지명된 바 있으며, 2024년 국립오페라단의 <탄호이저> 연출로도 국내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심청>에서는 ‘효녀’라는 도식화된 관념을 넘어, 말할 수 없고 선택할 수 없었던 존재로서의 심청을 주체적 상징으로 변모시켰다.
극 중 심청은 타인의 기대에 의해 침묵과 희생을 강요당했던 이 시대 모든 ‘억압된 존재’로 해석되며, 심봉사 역시 반복적인 무능과 맹목을 통해 기득권과 사회 구조의 은유적 이미지로 형상화된다. 이처럼 <심청>은 동서양 신화와 설화 속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희생과 각성’이라는 원형적 서사를 언어의 경계를 넘어 현대적으로 재배열한다.
음악은 전통 판소리의 어법과 미감을 유지하면서도 연출의 서사적 실험과 긴밀히 호흡한다. 작창과 음악감독은 창극 <리어>, <귀토>, <보허자> 등을 통해 창극의 현대적 지평을 넓혀온 한승석이 맡았다. 대목의 가사는 원전을 유지하면서도, 인물 감정과 장면 구성에 따라 화자와 구조를 재배치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며, 수성가락을 중심으로 한 국악기군(가야금, 대금, 해금 등)과 서양 현악기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무대미술과 영상은 요나 김 연출과 오랜 협업을 이어온 독일 창작진이 참여해, 시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장센과 실시간 라이브 카메라 중계 기법으로 배우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확장한다. 이는 음악·서사·이미지가 삼위일체로 작동하는 종합무대예술로서 창극의 예술성을 한층 고양시킨다.
출연진 역시 그 어느 때보다 다채롭다. 심청 역은 김우정과 김율희가 더블 캐스팅되었으며, 심봉사 역은 김준수와 유태평양이 맡는다. 이소연이 뺑덕어멈 역을, 중견 배우 김미진과 김금미가 각각 노파심청과 장승상댁 부인 역을 맡는다. 이 외에도 시즌 단원과 무용수, 아역배우, 합창단 등 총 150여 명의 출연진이 대형 무대를 구성한다.
<심청>은 전통 창극의 계승에 머물지 않고, 장르와 시대, 국경을 넘는 새로운 창극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음악과 연극,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이 맞물린 이 작품은, ‘창극의 미래’라는 화두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예매는 국립극장 홈페이지 및 인터파크 티켓을 통해 가능하다.